홈 > 한국가사문학DB > 가사

용례풀이

search
전체
총 67,094개

김통정(金通精)[제주여행가 9 페이지 / 두루마리]

고려시대의 반장(叛將).삼별초의 장수로 있을 때 강화에서 개경으로 환도가 결정되자 이에 반대하여 진도를 거점으로 몽골과 고려에 저항함.토벌군에게 패하자 나머지 병력을 이끌고 탐라로 들어가 성을 쌓고 항전함.

김판부의[효부가 4 페이지 / 전적]

판부(判府)는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의 준말로 이조 중추부의 종일품 벼슬.

김포(金浦)[한양가권지해라(한양가권지라) 18 페이지 / 전적]

오늘날 경기도 김포시.

김학봉(金鶴峯)[한양가권지해라(한양가권지라) 11 페이지 / 전적]

조선 중기의 문신인 학봉 김성일(鶴峯 金誠一, 1538~1593).

김학사(金學士)[북쳔가 6 페이지 / 두루마리]

이 작품의 주인공인 김진형(金鎭衡)을 말함.

김학사(金學士)[북쳔가 18 페이지 / 두루마리]

학사(學士)는 홍문관 부수찬 이상의 관료의 별칭이다.

김한구(金漢耉)[한양가권지해라(한양가권지라) 39 페이지 / 전적]

조선 영조 때의 문신(1723∼1769)으로 1759년 그의 딸이 영조의 계비가 되자 돈녕부도정(敦寧府都正)이 되었으며, 오흥부원군(鰲興府院君) 봉하였음.

김한훤[팔역가(八域歌) 22 페이지 / 전적]

김굉필

김해(金海)[한양가권지해라(한양가권지라) 50 페이지 / 전적]

경상남도 김해시.

김헌창(金憲昌)[반만년한국가사(半萬年韓國歌史) 41 페이지 / 전적]

신라 헌덕왕 때의 반신(叛臣)(?~822). 청주 도독, 웅천주 도독을 지냈다. 선덕왕이 죽은 뒤, 아버지 주원(周元)이 왕위에 오르지 못하자 반란을 일으켰다가 관군에게 몰려 자살하였다.

김홍집(金弘集)[반만년한국가사(半萬年韓國歌史) 156 페이지 / 전적]

구한말의 정치가(1842~1896). 초명은 굉집(宏集). 자는 경능(敬能). 호는 도원(道園)ㆍ이정학재(以政學齋). 임오군란 뒤에 한국 전권 부관(全權副官)으로 제물포 조약을 체결하였다. 내각 총리대신이 되어 <홍범 14조>를 발표하였으며 갑오개혁을 단행하였다. 과격한 개혁과 아관 파천으로 친러파 내각에 밀려나게 되었고 광화문에서 폭도들에게 피살되었다. 저서에 ≪이정학재일록(以政學齋日錄)≫이 있다.

김화(金化)[석천집(石川集二-三)2-3 89 페이지 / 전적]

강원도에 있는 고을 이름.

김화(金化)[북쳔가 4 페이지 / 두루마리]

강원도에 속해 있는 군.

김황원(金黃元)[연행별곡(연별곡) 6 페이지 / 전적]

고려시대의 문신이자 시인.고시(古詩)로 이름을 떨쳤고, 요(遼)나라의 사신을 맞아 시(詩)로써 환영하여 요나라 사신이 크게 감동받은 일화를 지녔음.

김회숙(金晦叔)[고봉선생문집 권이(高峰先生文集 券二) 46 페이지 / 전적]

회숙은 김계(金啓)의 자(字). 호는 운강(雲岡)이며 본관은 부안(扶安). 명종 7년 문과에 급제한 후 헌납을 거쳐 이조 참판에 이르렀으며,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,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,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 등과 도의 (道義)를 강론하였고 문무(文武)를 겸비한 인물이었다.

김효원(金孝元)[반만년한국가사(半萬年韓國歌史) 113 페이지 / 전적]

조선 선조 때의 문신(1532~1590). 자는 인백(仁伯). 호는 성암(省庵). 명종 20년(1565)에 문과에 장원하고 정언, 지평을 거쳐 이조 참의에 이르렀다. 신진 사림파인 동인(東人)의 중심인물로, 기성 사림파인 서인(西人) 심의겸과 대립해 당쟁의 근원이 되었다. 저서에 ≪성암집≫이 있다.

김후근(金厚根)[반만년한국가사(半萬年韓國歌史) 151 페이지 / 전적]

조선 후기의 문신이다. 개령현감으로 있을 때 그의 탐욕과 폭정에 대항하여 일으난 민란을 진압하였으나 문책을 당하고 유배되었다.

김후지[석천집(石川集二-五)2-5 19 페이지 / 전적]

김인후(金麟厚)를 말함이니 후지는 그의 자요 호는 하서(河西)이다.

김후직[팔역가(八域歌) 22 페이지 / 전적]

신라 지증왕대의 충신

김훤술(金萱述)[반만년한국가사(半萬年韓國歌史) 47 페이지 / 전적]

고려 태조 때의 개국공신의 한명으로 시중이 되었으며, 해평군에 봉해졌다.

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

담양군청 : (57339)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/ 대표전화 : 061-380-3114

한국가사문학관: (57392)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/ 대표전화 : 061-380-2700 팩스 : 061-380-3556

Copyright by Damyang-Gun. All Right Reserved.